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77

강북의 반포 성수 1만가구 재개발 본궤도 약 9400가구가 들어서는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지구 재개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서울시가 성수전략정비구역 1,2,3,4지구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고시하면서다.서울 강북 신흥 부촌으로 떠오르는 성수전략정비구역 시공권을 두고 건설사들의 수주전도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25년 4월 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 정비계획 결정안을 서울시에 고시했다.성수전략정비구역은 성동구1가 72-10 일대 총 4개 지역으로 구성돼 있다. 대지면적 52만 8000㎡(약16만평)에 총 55개동, 9428가구(임대주택 2004가구)의 공동주택이 들어서는 대규모 재개발 정비사업구역이다. 이번 정비계획에는 이 일대 최고 250m의 랜드마크 건물의 올릴 수 있는 방안이 담겼다.이에 따라 .. 2025. 4. 7.
하반기 집값 과열될 수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로 국내 부동산 시장에 드리웠던 정치적 불확실성은 일단 걷혔다.그러나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 영향과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속에 미국의 '관세정책'까지 덮치면서 단기적으로는 시장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반면 조기 대선 실시 이후 하반기로 갈수록 수급 불안에 따른 매매가격 상승 압력도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전반적인 거래시장이 당장 활성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도널트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세계 경제 침체 공포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약 두 달 후 치러지는 대선 결과에 따라 주택정책 방향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는 위험도 문제다.실제로 올해 2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급등했던 서울 아.. 2025. 4. 6.
삼성다운 저력 잃었다는 자성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임원들에게 "삼성다운 저력을 잃었다"며 "사즉생"의 각오로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삼성은 최근 임원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이 회장의 메시지를 공유했다. "죽는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에 직면했다"는 이 회장의 뼈아픈 자성은 그만큼 현 상황이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한때 '초격차'를 자랑하던 삼성이 핵심 사업에서 경쟁사에 밀리고, 글로벌 경영 환경마저 악화되면서 과연 위기를 돌파할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복합위기에 직면한 삼성의 가장 큰 문제는 주력인 반도체 사업 부진이다.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지난해 영엽이익은 15조 1000억원으로 SK하이닉스(23조 4673억원)에 크게 못미쳤다.고부가가치 제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투자 타이밍을 놓친 탓이다... 2025. 3. 18.
'하락거래' 13개월만 최대 집값 낮춰야 겨울 팔린다 '하락 거래' 13개월만 최대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 되면서 이전 거래 가격보다 싼값에 거래되는 '하락 거래' 비중이 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 교통부 아파트 실거래 가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월 전국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은 44.9%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12월(47.3%) 이후 가장 노은 수치다. 하락 거래 비중은 지난해 8월부터 6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상승 거래와 비교해 하락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수도권에선 하락 거래 비중이 지난해 12월 43.3%로 집계되며 상승 거래 비중보다 높아졌다. 서울은(36.9%)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높은 가운데 경기(45.7%), 인천(45.2%) 아파트 거래 가격이 .. 2025. 2. 11.